총 107건 중 107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日帝時期 野談大會의 현장 -?開城野談行???野談南國行???南朝鮮野談巡訪?을 중심으로-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漢文學報,
v.16,
2007,
pp.315-333)
-
42
-
중국 서사의 전파와 조선적 수용의 가능성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1,
pp.148-167)
-
43
-
소설사 이해의 여정양승민, -『고전소설문헌학의 실제와 전망』(아세아문화사, 2008)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576-581)
-
44
-
吏胥?譯官 계층 소설 관련 양상의 현실적 근거와 그 실제
-
신상필;
성균관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06,
pp.177-202)
-
45
-
동아시아 문화권의 전통과한국 한문소설의 쟁점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3,
pp.105-130)
-
46
-
필기 양식의 기록성과 그 미의식의 전개 양상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1,
pp.223-250)
-
47
-
파리외방전교회가 남긴 동서양 문명교류의 흔적 – Grammaire Coréenne(1881) 소재 단형고전서사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4,
pp.349-380)
-
48
-
근대 한문학에 다가서는 새로운 상상력- 김진균, ⟨모던한문학⟩, 학자원, 2015.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6,
pp.261-266)
-
49
-
조선후기 역관 아전 계층의 사회와 문화 -필기․야담 자료를 중심으로-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1,
pp.205-226)
-
50
-
조선조 野史의 전개와 ⟨寒皐觀外史⟩의 위상
-
신상필;
부산대학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0,
2005,
pp.203-2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