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.
- 玉吾齋 宋相琦의 祭文 硏究
- 김윤희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3 p., 2015
-
42
-
와송(Orostachys japonicus) 용매별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, 항균 및 암세포 독성 비교
-
김승미;
박정훈;
부희옥;
송상기;
박현용;
;
(한국자원식물학회지,
v.30,
2017,
pp.133-143)
-
43
-
라이프니츠의 모나드 개념으로 읽는 후아나 수녀의 ??꿈??에 나타난 바로크적 그림자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6,
pp.269-286)
-
44
-
기억과 망각의 수사학을 통한 현대 중남미 문학 텍스트 분석 - 보르헤스, 푸엔테스,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-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3,
pp.425-444)
-
45
-
엔리케 두셀의 해방철학과 전지구화 시대의 비판윤리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이베로아메리카,
v.10,
2008,
pp.1-33)
-
46
-
후아나 수녀의 『신성한 나르키소스 El divino Narciso』를 통해 본 중남미 식민지 시대 바로크적 표상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2,
pp.57-78)
-
47
-
카를로스 데 시구엔사 이 공고라의 『알론소 라미레스의 불행』에 나타나는 바로크적 주체로서의 크리오요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3,
pp.129-150)
-
48
-
영지(靈知)와 수사(修辭)의 귀환으로서의 마술적 사실주의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,
v.7,
2014,
pp.107-130)
-
49
-
중남미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관계와 공동체적 자유주의 모색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중남미연구,
v.29,
2010,
pp.339-366)
-
50
-
중남미 식민지시대 문학담론과 공증의 수사학 - 역사와 문학과의 관계 -
-
송상기;
고려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4,
pp.293-30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