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0건 중 160건 출력
, 5/16 페이지
-
41
-
한국전쟁 이후 아동 과학소설 전집의 장르문학으로서의 가능성 연구- 해동출판사와 아이디어 회관 전집을 중심으로 -
-
이주성;
모희준;
선문대학교;
선문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0,
2018,
pp.869-890)
-
42
-
1950년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본 『올리버 트위스트』의 번역 양상
-
조윤정;
국민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3,
pp.279-317)
-
43
-
우주시대의 과학소설 - 1970년대 아동전집 SF를 중심으로
-
최애순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7,
2013,
pp.213-242)
-
44.
- 심련수와 윤동주의 시 정신 비교 연구
- 두도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iv, 93장, 2008
-
45.
- 대만과 한국의 루쉰 수용사 비교연구
- 사가헌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11 p., 2019
-
46
-
동해 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연구 -『동해문학』을 중심으로-
-
최도식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6,
2022,
pp.343-366)
-
47
-
한국에서 H.G. 웰스 장편 과학소설의 이해와 수용
-
안미영;
건국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23,
pp.259-292)
-
48.
- 박병순 시조 연구
- 유지선
-
단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184장, 2013
-
49
-
박병순 시조의 고향 의식 연구
-
권성훈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56,
2012,
pp.29-53)
-
50
-
세계문학의 정전화 과정-1920-30년대 『더버빌가의 테스』의 수용을 중심으로
-
김미연;
성균관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;
(구보학보,
v.0,
2024,
pp.103-1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