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88건 중 388건 출력
, 5/39 페이지
-
41
-
Digitization and Utilization of Basic Historical Materials on North Korea -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North Korean Materials Database Construction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-
-
Lee, Hyunjin;
;
(史學 硏究 = The Review of Korean History,
v.157,
2025,
pp.473-526)
-
42
-
주체사상과 민족주의 - 북한사회 통치이념의 항상성과 변용성
-
차남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담론201,
v.15,
2012,
pp.109-140)
-
43
-
북한사회 뇌물 연구의 성찰과 제언 - 러시아 블라트(blat) 경험이 주는 함의 -
-
한재헌;
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;
(북한학연구,
v.17,
2021,
pp.7-34)
-
44
-
김정은 시대 북한사회 변화와 전망 : 모란봉악단 공연 분석을 중심으로
-
강동완;
박정란;
동아대학교;
카자흐스탄 유라시아 국립대학교;
(신안보연구,
v.0,
2014,
pp.33-78)
-
45
-
북한 연구 활성화의 성과 - (김경웅 외 著, 『신북한 개론』(서울: 을유문화사, 1998), 김성철 외 著, 『북한 이해의 길잡이: 전환기의 북한사회』(서울: 박영사, 1999), 오일환ㆍ정순원 著, 『김정일시대의 정치경제』(서울: 을유문화사, 1999))
-
정규섭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33,
1999,
pp.425-428)
-
46
-
북한사 기초사료의 디지털화와 활용 - 국사편찬위원회 북한 자료 DB 구축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-
-
이현진;
국사편찬위원회;
(사학연구,
v.0,
2025,
pp.473-526)
-
47
-
인구학의 눈으로 본 북한 사회의 위기와 전망을 보다 - ��북한사회와 굴절된 근대�� 박경숙.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. 2013.
-
김귀옥;
;
(한국사회학 = Korean journal of sociology,
v.48,
2014,
pp.255-262)
-
48
-
새터민의 이방성 이해 - 소통을 위한 문화담론을 찾아서
-
노귀남;
;
(한국여성철학= Korean feminist philosophy,
v.17,
2012,
pp.61-96)
-
49.
- 북한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
- 김혜진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210 p., 2019
-
50.
- 북한 지도자의 선물정치에 관한 연구
- 김경민
-
북한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41, 20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