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6건 중 116건 출력
, 5/12 페이지
-
41
-
법조윤리 확립 방안에 관한 시론
-
노명선;
성균관대학교;
(법조,
v.66,
2017,
pp.185-236)
-
42
-
사법통역인 법조윤리의 법제화* 81) -통역의 ‘정확성’이 형사재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-
-
송시섭;
동아대학교;
(홍익법학,
v.23,
2022,
pp.33-65)
-
43
-
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조윤리 교육방법
-
한인달;
영남대학교;
(법과사회,
v.0,
2008,
pp.201-224)
-
44
-
법조윤리,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?
-
한상희;
건국대학교;
(법과사회,
v.0,
2008,
pp.73-102)
-
45
-
한국에서의 법조윤리와 변호사의 책임
-
이상돈;
중앙대학교;
(중앙법학,
v.8,
2006,
pp.7-32)
-
46
-
형사사법시스템에 있어 법조윤리 확립 방안
-
천진호;
동아대학교;
(형사법연구,
v.0,
2006,
pp.805-828)
-
47
-
법조윤리, 무엇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(1)
-
김인회;
인하대학교;
(법학연구,
v.11,
2008,
pp.223-248)
-
48
-
법조윤리협의회의 운용현황과 발전방안
-
김영철;
건국대학교;
(토지공법연구,
v.54,
2011,
pp.267-290)
-
49
-
법조윤리협의회의 운영절차에 관한 연구
-
김영철;
건국대학교;
(일감법학,
v.0,
2012,
pp.285-320)
-
50
-
법조윤리의 법철학적 기초 - 표준적인 법조윤리관에 대한 재해석을 겸하여 -
-
오세혁;
중앙대학교;
(중앙법학,
v.19,
2017,
pp.351-3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