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선조 임인년(1602) 명나라 사신 접반의 교유 양상- 이안눌의 「東槎錄」을 중심으로
-
배주연;
이화여자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3,
pp.189-210)
-
42
-
알폰소 바뇨니(P. A Vagnoni)의 『동유교육(童幼敎育)』 연구
-
배주연;
이화여자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5,
pp.389-421)
-
43
-
명, 청 교체기 조선 문사 이안눌의 明 使行詩 연구 - ?朝天錄?(1601), ?朝天後錄?(1632)을 중심으로
-
배주연;
이화여자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06,
pp.77-114)
-
44
-
임란 후 현실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
-
배주연;
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;
(동방한문학,
v.0,
2016,
pp.103-150)
-
45
-
東岳 李安調(1571-1637)의 임진란 체험 한시 연구
-
배주연;
이화여자대학교;
(차세대 인문사회연구,
v.0,
2006,
pp.375-399)
-
46
-
19세기 순교자전 『긔해일긔의 서술방식 고찰
-
배주연;
가톨릭관동대학교;
(이화어문논집,
v.0,
2018,
pp.85-110)
-
47
-
한문서학서(漢文西學書) 『공제격치(空際格致)』 연구
-
배주연;
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7,
pp.227-250)
-
48
-
일본군 '위안부' 목소리의 복화술적 재현
-
배주연;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;
(여성학논집,
v.39,
2022,
pp.35-63)
-
49
-
‘포스트-트루스’ 시대의 기록과 기억-동시대 다큐멘터리의 ‘진실’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-
-
배주연;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;
(사이間SAI,
v.0,
2022,
pp.51-80)
-
50
-
민주화의 기억과 아시아 연대
-
배주연;
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소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1,
pp.71-1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