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54건 중 554건 출력
, 5/56 페이지
-
41
-
1930년대 말 치안유지법을 통해 본 조선 문학 - 조선문예부흥사 사건과 조선 문학자들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28,
2009,
pp.205-241)
-
42
-
이병기를 통해 본 근대적 '문학어'의 창안
-
배개화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89,
2005,
pp.288-318)
-
43
-
백화 양건식과 근대적 문체의 실험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8,
2005,
pp.155-193)
-
44
-
당, 수령, 그리고 애국주의 - 이태준의 경우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7,
2012,
pp.169-206)
-
45
-
소비하는 도시와 모더니즘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8,
2000,
pp.243-276)
-
46
-
『東光』을 통해 본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
-
배개화;
;
(국어국문학,
v.150,
2008,
pp.313-345)
-
47
-
문장지 시절의 박태원 - 신체제 대응양상을 중심으로
-
배개화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44,
2008,
pp.251-282)
-
48
-
이태준의 전시 체제 대응 방식 : 천리에 방심하지 않기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1,
2010,
pp.137-170)
-
49
-
문학의 희생 - 북한에서의 이태준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4,
2011,
pp.247-282)
-
50
-
<문장강화>에 나타난 문장(文章) 의식
-
배개화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6,
2004,
pp.417-4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