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30건 중 530건 출력
, 5/53 페이지
-
41
-
박용철 시 연구 - ‘숭고’를 중심으로
-
이찬행;
협성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7,
pp.171-194)
-
42
-
Language Awareness and its Meaning in Park Yongcheol’s Poems and Poetics -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Oriental literature theory
-
Hwang, Seonhui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73,
2018,
pp.269-307)
-
43
-
시문학파 시의 근대성과 공간 인식 고찰 - 김영란의 박용철의 시를 중심으로
-
신진숙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27,
2009,
pp.179-208)
-
44
-
박용철 시론의 인지시학적 연구
-
김청우;
국립부경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24,
pp.411-449)
-
45
-
시란 무엇인가 - 박용철의 시론과 관련하여-
-
강웅식;
고려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2,
pp.97-125)
-
46
-
박용철의 시론 연구 - ‘존재’와 ‘무명화’의 문제를 중심으로 -
-
강웅식;
고려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1,
pp.81-104)
-
47
-
박용철 시 연구
-
유성호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04,
pp.225-250)
-
48
-
박용철 시론 연구
-
정훈;
부산외대;
(동남어문논집,
v.1,
2008,
pp.111-125)
-
49.
- 한국 근대시론의 형성과정 연구 : 임화·김기림·박용철의 경우
- 김영범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77 p., 2018
-
50
-
박용철 시론의 재구성
-
오문석;
조선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2,
pp.311-3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