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교과 독서의 본질과 과제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05,
pp.35-54)
-
42
-
구성주의 이론의 국어교육학적 의의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07,
pp.1-26)
-
43
-
대학 독서 교육의 조명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-,
2004,
pp.31-52)
-
44
-
초등 교과용 도서의 적합성 고찰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11,
pp.137-170)
-
45
-
언어 영재를 위한 논리적 독서 지도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06,
pp.79-106)
-
46
-
국어과 평가와 창의적 사고력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04,
pp.165-192)
-
47
-
장르 인식을 위한비문학 제재 읽기 학습 방안 연구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6,
pp.123-152)
-
48
-
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‘교과 읽기’ 단원 설계 연구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7,
pp.37-61)
-
49
-
읽기역량 계발을 위한 설명텍스트 읽기수업 단원설계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교육연구,
v.79,
2020,
pp.9-34)
-
50
-
초등학교 6학년 다큐멘터리 감상문의 양상 - 정보 다큐멘터리와 감성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-
-
박수자;
부산교육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11,
pp.205-2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