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28건 중 228건 출력
, 5/23 페이지
-
41
-
민중의 해방투쟁과 민중신학(I) -1970년대의 민중운동과 안병무의 민중신학을 중심으로-
-
김창락;
;
(神學硏究 : Theological Studies,
v.28,
1987,
pp.69-132)
-
42
-
사회운동 참여자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운동정체성의 변화 - ‘변혁지향적ㆍ폭력적 민중운동 대 개량적ㆍ합리적 시민운동’ 이분법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
-
구은정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78,
2008,
pp.107-132, 305-306)
-
43
-
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와 이명박 정부의 등장; 사회운동(민중운동)의 대응 방향
-
이현대;
사회진보연대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5,
2008,
pp.300-325)
-
44
-
박정희 시대의 민중운동과 민주주의: 재야의 기원, 제도관계, 이념을 중심으로
-
박명림;
연세대학교;
(韓國과 國際政治 = Korea and world politics,
v.24,
2008,
pp.231-263)
-
45
-
세계사 교과서에서 중국 민중운동에 관한 서술 내용 분석
-
宋 堯 厚;
서울北工業高;
(역사교육,
v.0,
2005,
pp.67-108)
-
46
-
19세기 민중운동과 마이너리티 : 폭력의 역사서술을 중심으로
-
히와 미즈키;
早稻田大學校;
(한국문화,
v.0,
2012,
pp.271-285)
-
47
-
한국문학사를 사고하는 하나의 길: 민중운동․공론장․정의
-
임형택;
퇴계학연구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8,
pp.5-24)
-
48
-
근대 전환기 소설에 나타난 민중운동과 근대의식의 뿌리 연구
-
채진홍;
고려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04,
pp.245-278)
-
49
-
Uprisings and Civil Society 항쟁과 시민사회 : Nepal"s 1990 Jana Andolan 네팔의 1990년 자나 안돌란
-
George Katsiaficas;
;
(민주주의와 인권 = Journal of democracy and human right,
v.9,
2009,
pp.317-360)
-
50
-
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의 역사에서 유럽과 한국의 유사성과 차이 - 유럽의 신사회운동과 한국의 시민운동을 중심으로
-
정태석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72,
2006,
pp.125-147, 3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