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,696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창가(唱歌)·신체시(新體詩)와 그 문학사상(文學史上) 의의(意義)
-
김용직;
;
(국어국문학,
v.68,
1975,
pp.309-311)
-
42
-
조선문학가동맹 ‘詩部’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
-
박민규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12,
2012,
pp.183-217)
-
43.
- 藤村詩の比較文學的硏究
- 전기정
-
帝京大學, 국외박사,
306 p., 2001
-
44
-
서거정(徐居正)의 시문학(詩文學)에 나타난 두시(杜詩)의 영향(影響)
-
이종건;
;
(동악어문논집,
v.15,
1981,
pp.265-278)
-
45
-
재미 한인 시문학 연구 - 광복 이후 재미 한인 시문학의 특성과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
-
김정훈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45,
2009,
pp.205-249)
-
46
-
운곡 송한필의 시문학
-
배상현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11,
1988,
pp.101-121)
-
47
-
손팔주(孫八洲) 저(著) 신자하시문학연구(申紫霞詩文學硏究)
-
김갑기;
;
(국어국문학,
v.93,
1985,
pp.506-509)
-
48
-
전북 지역 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
-
노용무;
;
(國語文學,
v.51,
2011,
pp.90-110)
-
49
-
조선시, 전통, 시조 -조선시 구상과 국민문학, 국문학 개념의 탄생-
-
김춘식;
;
(국어국문학,
v.135,
2003,
pp.375-400)
-
50
-
문학 교육 제재로서 서정주 시 연구
-
송미진;
가천대학교;
(한국어문교육,
v.0,
2024,
pp.123-1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