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중국 천문역법의 계보 —John B. Henderson,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Chinese Cosmology, N.Y.: Columbia University Press, 1984 (한국어역: ⟨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⟩)에 대한 서평—
-
안대옥;
고려대학교;
(한글판<유교문화연구>,
v.1,
2010,
pp.311-340)
-
42.
- 조선후기 가계계승과 종부의 역할
- 김보람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ⅸ, 210, 2022
-
43.
- 상식과 감정으로 읽은 조선 초 국상 논의
- 안소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4, 2024
-
44.
- 조선초기 新樂 제정과 고제 ‘鄕樂’의 구현
- 허서연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5, 2022
-
45.
- 조선 초기 군사훈련의례와 병학
- 허대영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290, 2021
-
46.
- 麗末鮮初 私兵革罷와 公家之兵의 구현
- 정일태
-
서울대학교, 국내석사,
iii, 48장, 2019
-
47.
- 17세기 중후반 禮訟의 전개와 政治地形의 변화 : 禮訟의 政治史的 파장과 國王-朋黨 力學關係 변화를 중심으로
- 양선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79 p., 2013
-
48.
- 조선 초기 圓壇祭 시행의 난제와 독자 왕조의 의례 모색
- 장래건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ⅳ, 80, 2021
-
49.
- 조선후기 사역원의 구성과 운영 : 경관직 散員을 중심으로
- 유중정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5, 2022
-
50.
- 조선중기의 ‘斯文’과 文章 四大家
- 오세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361 p., 20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