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04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지역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만주어 -rA와 몽골어 -QU의 유사성
-
박상철;
서울대학교;
(언어학,
v.0,
2020,
pp.3-29)
-
42
-
'A Study on the “Moheguan(靺鞨罐)” in Manchuria·Maritime Province'
-
Ahn, Jae-pil;
;
(人文學硏究 : 경희대학교,
v.44,
2020,
pp.123-170)
-
43
-
만주지역 간도특설대의 설립과 활동
-
김주용;
;
(한일관계사연구,
v.0,
2008,
pp.169-199)
-
44
-
滿洲지역 地方志에 나타난 한국고대사 -遼寧省地域 자료소개를 중심으로-
-
;
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7,
pp.209-256)
-
45
-
한국 상고사와 동북아시아 청동기시대 문화 - 남만주 지역을 중심으로
-
복기대;
;
(단군학연구,
v.14,
2006,
pp.67-102)
-
46
-
An outsider of the border and the borderline : Research Status and Tasks Korean immigration in Manchuria
-
Kim , Joo-yong;
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97,
2018,
pp.89-121)
-
47
-
Traffic Routes and Central Bases in Manchuria during the Yuan Dynasty: Focused on the Northern Region of Manchuria
-
Yoon, Eun-Sook;
;
(역사문화연구= Journal of history and culture,
v.82,
2022,
pp.29-56)
-
48
-
북만주지역의 獨立運動歌謠 - -1910년대 민족주의 독립운동가요를 중심으로
-
김보희;
;
(韓國音樂硏究,
v.43,
2008,
pp.15-49)
-
49
-
日帝下 國內小作爭議와 海外移住農民 - 日本ㆍ滿洲地域을 中心으로
-
姜薰德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1984,
1984,
pp.131-154)
-
50
-
청말(淸末) 시기 만주(滿洲)지역 연구 - 유럽 개신교 선교부의 도래와 관련하여
-
박형신;
;
(한국기독교와 역사,
v.0,
2015,
pp.131-16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