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萬寶山事件과 중국의 언론
-
손승회;
영남대학교;
(역사문화연구,
v.0,
2007,
pp.235-268)
-
42
-
萬寶山사건 전후 동북아의 민족관계와 민족모순 - 중국인의 사건 인식을 중심으로
-
윤휘탁;
;
(歷史 學報,
v.181,
2011,
pp.259-293)
-
43
-
1931년 植民地朝鮮의 排華暴動과 華僑
-
孫承會;
;
(중국근현대사연구 = Korean studies of Modern Chinese history,
v.41,
2009,
pp.141-165)
-
44
-
식민지도시 부산의 ‘시나마찌(支那町)’와 화교들
-
Cho, Se-Hyun;
;
(역사와경계 = History & the Boundaries,
v.87,
2013,
pp.153-185)
-
45
-
만주사변 전후 재한화교 문제의 양상 - 朝鮮總督府 外事課와 在韓中國領事館 간 왕복문서를 중심으로
-
姜抮
亞;
;
(東洋史學硏究 =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,
v.120,
2012,
pp.261-305)
-
46
-
Enforcement of immigration control in Colonial Korea and nationalism in Chinese media
-
강진아;
;
(중국근현대사연구 = Korean studies of Modern Chinese history,
v.59,
2013,
pp.101-131)
-
47
-
지역너머의 萬寶山事件(1931년) - 사건을 둘러싼 실체적 외교행위 규명을 중심으로
-
孫承會;
;
(人文硏究,
v.53,
2007,
pp.91-130)
-
48
-
1920년대 재만 한인문제에 대한 한인 기독교계의 대응과 그 성격
-
황민호;
숭실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20,
2003,
pp.7-208)
-
49
-
1931년 華僑排斥事件과 조선 민족주의운동
-
박정현;
고려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4,
pp.239-268)
-
50
-
이태준의 <농군>과 장혁주의 ≪개간≫을 통해서 본 일제 말기 작품의 독법과 검열
-
;
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0,
pp.173-2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