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87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러시아 문학 교양강좌 운영 사례 연구
-
서상범;
부산외국어대학교;
(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,
v.0,
2019,
pp.245-271)
-
42
-
Письмо-памфлет в контексте «писем вождю»: на материале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XX века
-
Суровцева Е.В;
Рос. Акад. Естествознания;
(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,
v.0,
2013,
pp.117-136)
-
43
-
출판.비평과 문학의 다성화 - 러시아문학에서 ‘문학중심주의’의 개념과 ‘문학장’의 변화를 중심으로 -
-
조준래;
성균관대학교;
(동유럽발칸연구,
v.16,
2006,
pp.113-132)
-
44
-
현대 러시아 재외 문학의 흐름
-
권기배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1,
2009,
pp.193-211)
-
45
-
푸시킨과 샤토브리앙: 푸시킨의 샤토브리앙 수용에 관한 개론
-
이명현;
이순희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,
v.0,
2022,
pp.63-94)
-
46
-
바흐찐 크로노토프 이론의 국내수용에 관한 고찰 - 국문학에서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
-
권기배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8,
2006,
pp.151-189)
-
47
-
현대 러시아문학에서 메타소설의 전통 - 레오노프의 『도적』, 나보꼬프의 『재능』, 불가꼬프의 『거장과 마르가리따』, 비또프의 『뿌슈낀의 집』
-
김희숙;
권정임;
이형숙;
서울대학교;
경희대학교;
고려대학교;
(러시아연구,
v.12,
2002,
pp.1-50)
-
48
-
1920년대 한국 서간체 소설과 스쩨뿐의 철학 서간체 소설 비교 연구 - 1920년대 한국 서간체 소설에 나타나고 있는 러시아 문학의 영향을 중심으로
-
권기배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,
2008,
pp.67-92)
-
49
-
불가코프 소설 『거장과 마르가리타』에 나타난 집의 의미
-
Jeong Mak Lae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5,
2013,
pp.183-211)
-
50
-
이효석의 문학적 자의식과 러시아문학: 「도시와 유령」과 고골의 「외투」, 「넵스키 거리」에 나타난 도시생태학을 중심으로
-
권기배;
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;
(슬라브학보,
v.37,
2022,
pp.107-13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