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문학사의 조건: 문학 개념과 문학의 역사성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20,
pp.111-128)
-
42
-
문학사 회의론과 옹호론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8,
pp.55-72)
-
43
-
Gegensatzkonstruktion als Narrationsmuster in der Literaturgeschichtsschreibung: Nestroy versus Raimund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4,
2003,
pp.308-323)
-
44
-
문학 교육과 문학사: 독일 중등학교와 우리 대학의 독문학사 교육을 중심으로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22,
pp.51-68)
-
45
-
젠더, 정전, 문학사
-
라영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24,
pp.9-30)
-
46.
-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초기 단편 Fragmente에 나타난 낭만적 아이러니
- 김한올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, 71 p., 2015
-
47.
- 숭고와 미적자유 : 칸트와 실러의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
- 김경랑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90 p., 2013
-
48.
- 웃음에 관한 미학적 성찰
- 정현경
-
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207 p., 2009
-
49.
- 슈테판 츠바이크의 『초조한 마음』에 나타난 연민 의미의 분석
- 박지선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[i], 105 p.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