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4건 중 144건 출력
, 5/15 페이지
-
41
-
교육체험 강화를 위한 온라인 뮤지엄 전시디자인 연구 - 포크와 디어킹의 맥락적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-
-
황정원;
최정아;
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공간디자인전공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,
v.0,
2021,
pp.3-14)
-
42
-
일본 국립디자인박물관 설립을 둘러싼 동향과 논점 ― 새로운 역사서술 방식과 ‘국립’의 사이 ―
-
노유니아;
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;
(일본학보,
v.0,
2024,
pp.245-267)
-
43.
-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에서 나타난 이중적 중첩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
- 이상진
-
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114, 2014
-
44
-
뮤지엄 관람객의 사진 촬영 동기 부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
-
유정은;
김연희;
SICAF 조직위원회;
국민대학교;
(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,
v.8,
2021,
pp.409-418)
-
45.
- 스마트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뮤지엄의 커뮤니케이션 증진방안 연구
- 이선경
-
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, 국내석사,
ⅸ, 159p., 2012
-
46
-
문화담론의 장으로서 뮤지엄 전시를 위한 공간큐레이팅-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의미를 함의하는 전시디자인을 중심으로 -
-
최미옥;
국립민속박물관 학예사;
(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,
v.0,
2018,
pp.15-22)
-
47.
- 브랜드스케이핑을 위한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모델 개발 연구 : 네트워크 미술관을 위한 M.I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
- 한희석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88 p., 2025
-
48.
- 공룡 캐릭터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
- 이경아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50 p., 2007
-
49
-
작가의 인도스먼트(Endorsement)가 추억 · 증거 수집과 물질 소유로서의 뮤지엄 굿즈 소비에 미치는 영향
-
정민진;
윤나라;
홍익대학교;
홍익대학교;
(예술경영연구,
v.0,
2023,
pp.71-96)
-
50
-
한국의 박물관 건립 현황 분석에 따른 박물관 건립 계획(Museum Planning)의 필요성
-
박신의;
경희대학교;
(문화정책논총,
v.0,
2009,
pp.151-17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