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: ‘무력화되고 고립된 개인’의 삶을 치유하기 위한 비판적 사유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사회와 철학,
v.0,
2023,
pp.99-142)
-
42
-
심리치료와 철학의 만남과 대화 -정신의학자 보스(M. Boss)와 철학자 하이데거(M. Heidegger)의 ‘졸리콘 세미나’를 중심으로-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가톨릭철학,
v.0,
2019,
pp.65-106)
-
43
-
심리치료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나타난 철학적 인간이해의 중요성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한국여성철학,
v.33,
2020,
pp.93-141)
-
44
-
톨스토이는 삶의 무의미로부터 어떻게 의미탐색을 해나갔는가?: 『참회록』의 자기성찰에 드러난 '철학적 숙고'를 중심으로
-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인간연구,
v.0,
2025,
pp.75-112)
-
45
-
해석학적 이해를 실천하는 상담자-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을 중심으로
-
정승연;
노성숙;
시립보라매청소년센터 상담사.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철학상담전공 교수.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3,
2022,
pp.373-396)
-
46
-
CEO 나르시시즘에 대한 철학상담의 접근 가능성: 불안과 권력의 관점에서
-
양석준;
노성숙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22,
pp.349-387)
-
47
-
한국에서 ‘워킹맘’으로 살아가기: 직장인엄마의 다중역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
-
노성숙;
한영주;
유성경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
v.24,
2012,
pp.365-395)
-
48
-
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치료효과
-
최영룡;
이재준;
임소영;
노성숙;
황성미;
정일영;
한림대학교;
인하대학교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강원대학교;
(The Korean Journal of Pain,
v.17,
2004,
pp.12-12)
-
49
-
경천추접근을 통한 정위적 천추 후근신경절 절단술
-
신근만;
임소영;
최영룡;
이정범;
이규호;
노성숙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한림대학교;
(The Korean Journal of Pain,
v.16,
2003,
pp.205-208)
-
50.
- 하버마스의 '상호주관성'에 기반한 부모교육에 대한 고찰
- 김향
-
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00 p., 20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