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발터 벤야민의 사유에 나타난 주체, 이미지, 기술 사이의 관계
-
김현강;
University of Bonn;
(인문논총,
v.0,
2013,
pp.317-342)
-
42
-
자크 라캉과 슬라보예 지젝의 페미니즘 이론
-
김현강;
뒤셀도르프 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8,
2021,
pp.161-176)
-
43
-
Die göttliche Gewalt bei Benjamin und Žižek
-
김현강;
연세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14,
pp.205-225)
-
44
-
Slavoj Žižek’s Political Philosophy
-
김현강;
뒤셀도르프 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7,
2020,
pp.105-126)
-
45
-
신문 사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담론적 양상
-
김현강;
연세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15,
pp.29-58)
-
46
-
경계와 문턱으로서의 기생충
-
김현강;
Hochschule Düsseldorf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9,
2022,
pp.125-143)
-
47
-
슬라보예 지젝의 실재의 존재론
-
김현강;
뒤셀도르프 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7,
2020,
pp.73-90)
-
48
-
담화 연구를 위한 자료 구축의 문제 -비언어 요소의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-
-
김현강;
송재영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언어사실과 관점,
v.27,
2011,
pp.149-171)
-
49
-
한국어 교재 ‘본문’의 담화적 요소 분석
-
김현강;
이윤진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사회언어학,
v.21,
2013,
pp.49-73)
-
50
-
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 기반 구두 발표 연구 -문어 텍스트 재구성 양상을 중심으로-
-
김현강;
손희연;
연세대학교;
연세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11,
pp.23-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