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59건 중 359건 출력
, 5/36 페이지
-
41
-
김시습과 성현의 귀신 담론과 원귀 인식
-
강상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4,
pp.9-45)
-
42
-
김시습의 사상사적 자기 모색과 <남염부주지>의 再讀 : <유금오록>과의 관련을 중심으로
-
강창규;
부산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3,
pp.231-272)
-
43
-
김시습과 무량사의 관계 몇 가지 -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
-
Young-Sung Choi,;
;
(栗谷學硏究 = Journal of yulgok studies,
v.39,
2019,
pp.189-214)
-
44
-
매월당 김시습의 행정개혁사상
-
박수경;
;
(한국행정사학지,
v.0,
2016,
pp.27-48)
-
45
-
Study on Tea Lifestyle through the Tea Poems of Geo-Jung Seo and Si-Seup Kim
-
Kim, Yumi;
Hong, Suk-Hwan;
Yi, Pyong-In;
;
(韓國茶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Tea Society,
v.29,
2023,
pp.12-23)
-
46
-
매월당 김시습에 대한 기억과 공감의 시대적 맥락 -광해군代 기자헌과 유몽인의 기억을 중심으로-
-
강창규;
부산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0,
pp.183-221)
-
47
-
김시습과 서거정
-
심경호;
고려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01,
pp.185-224)
-
48
-
김시습의 관동 유력 1, 여정과 심경
-
이승수;
박청매;
한양대학교;
염성사범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3,
pp.135-163)
-
49.
- 淸寒子 金時習의 內丹思想 연구 : 『梅月堂文集』「雜著」를 중심으로
- 박병관
-
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, 국내석사,
v, 97 p., 2010
-
50
-
김시습에 대한 기억과 문헌의 전승 양상
-
강창규;
부산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57,
2024,
pp.63-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