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철제농공구와 단야관련유물로 본 한일교섭 - 큐슈지역과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-
-
이동관;
국립진주박물관;
(영남고고학,
v.0,
2013,
pp.100-134)
-
42
-
武臣 한범석의 공훈과 업적
-
신윤호;
국립진주박물관;
(南冥學硏究,
v.0,
2014,
pp.135-156)
-
43
-
【기획논문】경상도지역의 산성 유적 분포도를 활용한 영남지역 삼국시대 교통로와 방어체계 검토
-
조효식;
국립진주박물관;
(지역과 역사,
v.0,
2010,
pp.5-38)
-
44
-
임진왜란과 固城 의병의 활동 양상
-
신윤호;
국립진주박물관;
(군사,
v.0,
2015,
pp.395-426)
-
45
-
⟨太平會盟圖⟩의 역사적 배경
-
신윤호;
국립진주박물관;
(미술자료,
v.0,
2014,
pp.79-94)
-
46
-
경상도 의령종이의 변화양상 연구 -봉수면 서암마을을 중심으로-
-
최현욱;
국립진주박물관;
(민속학연구,
v.0,
2012,
pp.73-108)
-
47
-
星雲文鏡 製作技術의 두 가지 系譜
-
李 陽 洙;
국립진주박물관;
(영남고고학,
v.0,
2006,
pp.65-82)
-
48
-
삼국시대 소형철기와 축소모형철기를 통해 본 교류
-
이동관;
국립진주박물관;
(고고광장,
v.0,
2018,
pp.33-53)
-
49
-
다뉴조문경의 제작기술
-
이양수;
국립진주박물관;
(호남고고학보,
v.22,
2005,
pp.39-68)
-
50
-
임진왜란의 기억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구현
-
서윤희;
국립진주박물관;
(태동고전연구,
v.43,
2019,
pp.9-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