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신체와 마음의 기술적 확장에 관한 고찰 -〈공각기동대〉(1995)를 중심으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비교문화연구,
v.67,
2022,
pp.1-30)
-
42
-
사실적 기억과 감정적 기억 - W.G. 제발트와 노라 크루크의 기억서사 비교 분석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5-30)
-
43
-
울라 한의 소설 『흐릿한 사진들』(2003)에 나타나는 사후세대의 기억방식과 매체적 기억
-
구연정;
서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8,
2017,
pp.155-172)
-
44
-
기술영상에 대한 비판적 읽기로서 사진철학 - 빌렘 플루서의 ‘사진철학’에 대한 소고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4,
2023,
pp.101-122)
-
45
-
애도와 기억 -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『책 읽어주는 남자』와 스티븐 달드리의 ⟨더 리더⟩에 나타나는 전후세대의 역사의식 비교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일현대문학,
v.0,
2018,
pp.85-115)
-
46
-
유럽의 반이민주의와 통합유럽의 정체성의 위기 -독일의 예를 중심으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통합유럽연구,
v.9,
2018,
pp.81-108)
-
47
-
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소설 『책 읽어주는 남자』와 영화 ⟨더 리더⟩에 나타나는 매체적 차이를 통한 서사적 변용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카프카 연구,
v.0,
2017,
pp.231-253)
-
48
-
독일 기억문화의 정치화와 베를린의 홀로코스트 추모비(2005)에나타나는 미학적 형식의 문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26,
2018,
pp.1-23)
-
49
-
도취된 혁명성 너머의 ‘인간소설’ - 한스 팔라다의 『누구나 홀로 죽는다』 다시 읽기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1,
2020,
pp.27-46)
-
50
-
베를린 ⟨테러의 지형도⟩: 역사적 폐허에서 살아있는 기억의 터로
-
구연정;
숭실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19,
pp.11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