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3건 중 93건 출력
, 5/10 페이지
-
41
-
서평 - 김영식, 『정약용의 문제들』 (혜안, 2014), 304쪽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7,
2015,
pp.387-389)
-
42
-
19세기 초 주자학적 조석설(潮汐說)의 재구성 - 유휘문(柳徽文)의 『창랑답문(滄浪答問)』을 중심으로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4,
2012,
pp.495-524)
-
43
-
세종, 조선 과학의 범형(範型)을 구축하다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5,
2013,
pp.203-224)
-
44
-
조선후기 '선기옥형'에 대한 인식의 변화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26,
2004,
pp.247-273)
-
45
-
성해응(成海應, 1760-1839)의 조석설(潮汐說)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6,
2014,
pp.357-390)
-
46
-
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개혁 방안: 정조의 천문책에 대한 대책을 중심으로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11,
2004,
pp.189-225)
-
47
-
『晝永編』을 통해 본 鄭東愈(1744∼1808)의 自然認識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10,
pp.413-447)
-
48
-
조선후기 지식인들의 『天地萬物造化論』에 대한 인식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2,
pp.215-265)
-
49
-
이문재(李文載)의 자연학(自然學)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4,
pp.255-305)
-
50
-
朝鮮後期 天文曆算學의 주요 爭點-正祖의 天文策과 그에 대한 對策을 중심으로-
-
구만옥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6,
pp.221-2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