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민주화 이후 한국 환경운동의 제도화와 안정화 - 저항사건분석(protest event analysis)을 중심으로
-
홍덕화;
구도완;
서울대학교;
환경사회연구소;
(ECO,
v.18,
2014,
pp.151-186)
-
42
-
원주의 협동운동과 생명운동 - 생태민주주의 관점
-
유채원;
구도완;
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;
중앙대학교;
(ECO,
v.19,
2015,
pp.213-255)
-
43
-
대안적 발전 : 생태적 공동체와 어소시에이션을 넘어서
-
구도완;
여형범;
환경사회연구소;
서울대학교;
(경제와 사회,
v.0,
2008,
pp.83-106)
-
44
-
일본 가네미오일 사건의 사회적 구성: 식중독인가, 식품공해인가?
-
정세경;
구도완;
환경사회연구소;
환경사회연구소 소장;
(ECO,
v.24,
2020,
pp.225-261)
-
45
-
가습기살균제 참사와 전문가 대응 활동
-
박진영;
구도완;
서울대학교;
환경사회연구소 소장;
(ECO,
v.24,
2020,
pp.135-179)
-
46
-
가습기살균제 참사 대응 시민운동
-
이철재;
구도완;
환경사회연구소;
환경사회연구소 소장;
(ECO,
v.24,
2020,
pp.87-133)
-
47
-
4대강사업 대응 환경운동
-
이철재;
구도완;
환경사회연구소;
환경사회연구소;
(ECO,
v.26,
2022,
pp.265-313)
-
48
-
2007년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서사문학 작품의 환경관 분석 - 초등학교 3 - 6학년 <읽기> 교과서 중심으로 -
-
김선희;
이상원;
서울전농초등학교;
서울교육대학교;
(한국초등교육,
v.26,
2015,
pp.125-142)
-
49
-
Framing Climate Change as an Economic Opportunity in South Korean Newspapers
-
윤순진;
구도완;
박년배;
한준;
서울대학교;
사단법인한국사회학회;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;
한국녹색기술센터;
(Journal of Asian Sociology,
v.43,
2014,
pp.219-238)
-
50
-
A Comparative Analysis of South Korean Newspaper Coverage on Climate Change: Focusing on Conservative, Progressive, and Economic Newspapers
-
윤순진;
구도완;
박윤배;
한준;
서울대학교;
한국사회학회;
세종대학교;
서울대학교;
(Journal of Asian Sociology,
v.41,
2012,
pp.201-22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