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이주자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각
-
김택호;
명지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40,
2013,
pp.139-161)
-
42
-
결혼 이주 여성, ‘불온한 자’의 운명-천운영, 공선옥, 허련순의 결혼 이주 여성 소설 연구
-
구재진;
세명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0,
pp.645-680)
-
43.
- 청소년 소설을 활용한 의사소통 역량 교육 방안 연구 : 공선옥의 <라일락 피면>을 중심으로
- 최예나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59, 2018
-
44
-
공선옥 소설 속 ‘장소’의 의미 - 『명랑한 밤길』, 『영란』, 『꽃같은 시절』을 중심으로
-
이희원;
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5,
pp.333-360)
-
45.
- 유치원 통합교육에 요구되는 정신지체 유아의 적응행동
- 공선옥
-
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 57 p., 1998
-
46
-
2010년대 이후 장애 여성 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의 정치성 – 김미선, 공선옥, 김초엽을 중심으로
-
박찬효;
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10-35)
-
47
-
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: 공선옥의 「가리봉 연가」를 중심으로
-
배옥주;
부경대학교;
(젠더와 문화,
v.6,
2013,
pp.149-175)
-
48
-
댐 건설과 개발 난민의 서사: 공선옥의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
-
조윤정;
한국과학기술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1,
pp.81-113)
-
49
-
공선옥의 『폐경전야』와 김훈의 『언니의 폐경』의 상호텍스트성 연구
-
유진아;
신라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15,
2014,
pp.117-140)
-
50
-
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물화된 몸 - 공선옥의 「가리봉 연가」를 중심으로
-
배옥주;
부경대학교;
(한어문교육,
v.28,
2013,
pp.313-34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