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총론 - 지방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
-
고석규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1,
1998,
pp.13-40)
-
42
-
조선후기의 섬과 薪智島 이야기
-
고석규;
;
(島嶼文化,
v.14,
1996,
pp.81-116)
-
43
-
조희룡의 임자도 유배생활에 대하여
-
고석규;
;
(島嶼文化,
v.24,
2004,
pp.57-99)
-
44
-
‘마을권’ 을 단위로 한 장기구조사의 시도 -『구림연구 -마을공동체의 구조와 변동』(정근식 외, 호남문화연구총서8, 경인문화사, 485쪽, 2003. 2.)
-
고석규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6,
2003,
pp.293-306)
-
45
-
고석규 비평의 수사학적 연구 - 문체론(stylistics)을 중심으로
-
오형엽;
수원대학교;
(수사학,
v.0,
2012,
pp.121-143)
-
46
-
고석규의 죽음의 세계와 여백의 사상
-
정원숙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5,
pp.205-234)
-
47
-
고석규의 에세이적 글쓰기와 ‘바깥’의 사유
-
김예리;
서울대학교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0,
2012,
pp.357-386)
-
48
-
압해도의 교육과 각급 학교의 연혁
-
고석규;
;
(島嶼文化,
v.18,
2000,
pp.163-203)
-
49
-
고석규 비평의 수사학적 연구 - 문체론(stylistics)을 중심으로
-
오형엽;
수원대학교;
(수사학,
v.0,
2012,
pp.121-143)
-
50
-
총장칼럼 - 일관성 있는 현장우선의 교육정책이 필요하다
-
고석규;
목포대학교, 전국국.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;
(大學敎育 = Higher education,
v.182,
2013,
pp.6-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