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조선후기 장편소설과 가족 로망스
-
강상순;
창원대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03,
pp.33-64)
-
42
-
‘민족’ 이후 민족문학사 서술의 방향과 고민 민족문학사연구소 편, 『새 민족문학사강좌 1』, 창비, 2009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460-466)
-
43
-
『한국문학통사』 다시 읽기 -고전문학사 서술의 지표와 이론-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5,
pp.3-48)
-
44
-
조선시대 필기·야담류에 나타난 귀신의 세 유형과 그 역사적 변모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0,
pp.137-168)
-
45
-
나말여초의 전기에 형상화된 사랑의 형식과 그 역사적 의미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09,
pp.7-47)
-
46
-
조선 전기 패설류 필기에 재현된 사랑과 그 담론화 방식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전과 해석,
v.8,
2010,
pp.355-391)
-
47
-
⟨운영전⟩의 인간학과 그 정신사적 의미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1,
pp.125-160)
-
48
-
고소설에서 환상성의 몇 유형과 환몽소설의 환상성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03,
pp.2-54)
-
49
-
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-조선 전·중기 필기·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-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전과 해석,
v.9,
2010,
pp.195-226)
-
50
-
조선사회의 유교적 변환과 그 이면: 귀신과 제사공동체
-
강상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역사민속학,
v.0,
2016,
pp.101-1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