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40건 중 540건 출력
, 49/54 페이지
-
481
-
전도부인(Bible Woman), 한국 근대소설 속 신여성(New Woman) 이전의 여자들
-
김예람;
서강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23,
pp.11-65)
-
482
-
<심청전>의 근대적 변용 연구
-
서유경;
서울시립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5,
pp.45-72)
-
483.
- '동감'과 문학 행위 이론의 재구성 : 문학 텍스트와 독자의 관계를 중심으로
- 김동계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0 p., 2000
-
484.
- 1930年代 同伴者作家의 戱曲硏究
- 정낙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17p., 1990
-
485
-
1940년대 ‘집’의 서사화에 대한 일고찰
-
김주리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1,
2010,
pp.277-304)
-
486
-
입신출세주의의 문학적 의미 이태준『사상의 월야』와 그 밖의 작품들
-
조성면;
인하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9,
pp.10-35)
-
487
-
장항제련소에서 새만금까지: 금의 정동과 느린 폭력 : 문학은 느린 폭력을 가시화할 수 있는가
-
홍덕구;
군산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4,
pp.69-108)
-
488
-
교과서 수록 단편소설에서 교사-학생 관계의 형상화 양상 연구
-
박정애;
강원대학교;
(방정환연구,
v.7,
2025,
pp.113-136)
-
489
-
[특집-민족담론과 한국근대문학] 식민 시대 민족의 자기 구성방식과 여성
-
김양선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4,
2003,
pp.47-74)
-
490
-
화류병과 문명병으로 표상된 일본과 조선의 근대 – 한일근대소설의 매독담론 –
-
안영희;
계명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20,
pp.105-13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