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40건 중 540건 출력
, 47/54 페이지
-
461.
- 1930년대 선전극 연구
- 정봉석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, 130p., 1997
-
462
-
폐병쟁이들의 근대-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결핵의 표상-
-
허병식;
동국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5,
pp.631-662)
-
463
-
위악적인 어른들의 사회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소년의 성장과 열린사회에의 지향
-
선주원;
광주교육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0,
2013,
pp.111-139)
-
464.
- 이효석 장편 소설 「벽공무한」의 영역 및 작품 연구
- Capener, Steven D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63 p., 2007
-
465
-
한국 소설과 분단의 아비투스-토지개혁의 경험과 민족 관념의 균열
-
유임하;
한국체육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0,
pp.422-444)
-
466
-
예쁘고 흉악하다 -식민지 시대 말기 소설 속 한글의 몇 가지 양상에 대해-
-
이경훈;
연세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18,
pp.203-236)
-
467.
- <심청전>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 교수·학습 방안 연구
- 박지민
-
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22 p., 2011
-
468.
- 蔡萬植 作品에 나타난 作家意識 硏究 : 「레디·메이드人生」「濁流」「太平天下」를 中心으로
- 박정숙
-
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72p., 1982
-
469
-
<濁流>-‘약’의 향연-
-
;
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13,
pp.291-326)
-
470
-
식민상상력과 연애소설의 성정치 내선결혼의 문제를 중심으로
-
심진경;
서강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5,
pp.163-1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