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63건 중 463건 출력
, 40/47 페이지
-
391
-
805년 日本 遣唐使의 귀국보고에 보이는 唐國 情勢 검토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21,
pp.221-253)
-
392
-
唐 憲宗代 西川節度使 高崇文의 出自와 活動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22,
pp.73-120)
-
393
-
『舊唐書』·『新唐書』 李師道·吳元濟·王承宗 등 列傳 역주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동국사학,
v.0,
2021,
pp.443-510)
-
394
-
唐代 嗣虢王 李邕과 王妃 夫餘氏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23,
pp.121-146)
-
395
-
『舊唐書』ㆍ『新唐書』 李師道ㆍ吳元濟ㆍ王承宗 등 列傳 역주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동국사학,
v.0,
2022,
pp.221-325)
-
396
-
唐 後期 宣武節度使 劉全諒의 출자와 활동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21,
pp.65-88)
-
397
-
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북한노획문서 중 북한신문 자료의 유형과 특징
-
정병준;
이화여자대학교;
(통일과 평화,
v.13,
2021,
pp.7-75)
-
398
-
唐 憲宗 초기 淮西 藩鎭의 地域割據 -吳少陽의 행동을 중심으로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21,
pp.55-85)
-
399
-
한국전쟁기 미군이 노획한 ‘북한노획문서’의 구성과 특징
-
정병준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21,
pp.265-306)
-
400
-
唐 憲宗의 淮西 討平과 그 의미
-
정병준;
동국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22,
pp.197-2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