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색어 : 통합검색[Brüder Grimm Kinder-und Hausmärchen]
-
31
-
Die filmische Adaption des Märchens Hänsel und Gretel -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Transmedialität
-
이시내;
서울대학교;
(독어교육,
v.82,
2021,
pp.111-130)
-
32
-
독일 민담 속의 난쟁이 연구 - 그림형제의 민담을 중심으로
-
손은주;
목원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4,
pp.79-99)
-
33
-
그림형제의 「룸펠슈틸츠헨」 연구
-
손은주;
목원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14,
pp.63-86)
-
34
-
메르헨의 문자화 과정 연구 - 그림 형제의 메르헨 수집과 편찬을 중심으로-
-
김경연;
;
(동화와 번역,
v.0,
2008,
pp.45-68)
-
35
-
『브레멘 음악대』에 나타난 약탈적 자본주의 양상 고찰
-
명정;
서울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22,
pp.147-167)
-
36
-
Die filmische Adaption des Märchens Hänsel und Gretel -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Transmedialität
-
이시내;
서울대학교;
(독어교육,
v.82,
2021,
pp.111-130)
-
37
-
『브레멘 음악대』에 나타난 약탈적 자본주의 양상 고찰
-
명정;
서울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22,
pp.147-167)
-
38
-
박해받는 여성 - 유럽민담 속의 여인수난사 - ‘털복숭이’ 유형의 민담 연구 -
-
손은주;
목원대학교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15,
pp.9-36)
-
39
-
대상 독자층에 따른 번역전략의 차이 ―그림형제 동화 번역 비교분석
-
안미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통번역학연구,
v.13,
2009,
pp.107-125)
-
40
-
손 없는 소녀 유형의 민담
-
손은주;
목원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15,
2007,
pp.71-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