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Database Construction Process of Basic Archaeological Resources in the Medieval Period in Korea-Promoting the utilization archaeological resources of the medieval history in Korea
-
홍영의;
;
(한국중세사연구,
v.2013,
2013,
pp.71-106)
-
32
-
고려시기 개경의 궁궐 조영과 운영
-
홍영의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0,
pp.289-340)
-
33
-
고려말 창왕대 '개혁파' 신흥유신의 결집과 분기과정
-
홍영의;
동덕여자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04,
pp.135-180)
-
34
-
고려 금속제 佛具類 銘文에 보이는 京‧外 匠人의 제작활동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6,
pp.259-305)
-
35
-
천 년의 역사도시 개성 답사기
-
홍영의;
한신대학교 학술원;
(역사비평,
v.0,
2006,
pp.241-271)
-
36
-
특집:조선후기 회화와 지도에 기록된 개성의 유적과 경관
-
홍영의;
숙명여자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1,
pp.137-187)
-
37
-
高麗末 恭讓王代 新興儒臣의 對立과 政治運營論(下)
-
홍영의;
동덕여자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04,
pp.123-167)
-
38
-
고려시대 지역성과 문화권-12목을 중심으로-
-
홍영의;
국민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41,
2014,
pp.43-102)
-
39
-
高麗末 恭讓王代 新興儒臣의 對立과 政治運營論(上)
-
홍영의;
동덕여자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04,
pp.93-114)
-
40
-
개혁군주 공민왕 : 공민왕의 즉위와 초기 국왕권 강화노력
-
홍영의;
숙명여대;
(한국인물사연구,
v.0,
2012,
pp.155-1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