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에.테.아.호프만이 괴테와 벌이는 상호텍스트적 유희
-
슈타이네케;
Univ. Paderborn;
(괴테연구,
v.0,
2005,
pp.119-136)
-
32.
-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』 그리고 『낯선 아이』에 나타난 현실과 환상의 조화
- 강우정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1, 2024
-
33
-
에·테·아·호프만의 「브람빌라 공주 Prinzessin Brambilla」에 나타난 예술관
-
곽정연;
서울여자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12,
2004,
pp.25-44)
-
34.
-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모래사나이』에 나타난 광기에 대한 매체이론적 고찰
- 안호정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5, 2017
-
35
-
에.테.아. 호프만의 음악과 문학 – 『수고양이 무어의 인생관』에 나타난 사랑 모티브를 중심으로
-
홍자선;
연세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275-295)
-
36
-
융합적 사고교육을 위한 문학텍스트의 교양수업 활용방안-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모래인간』을 중심으로-
-
이경희;
이화여자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8,
2015,
pp.157-190)
-
37
-
에 테 아 호프만의 우연 우연놀이 그리고 놀이로서의 글쓰기
-
김성현;
연세대학교;
(독일어문학,
v.31,
2023,
pp.47-74)
-
38
-
포스트휴머니즘 텍스트로서의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모래사나이』 연구
-
김진환;
고려대학교;
(독어교육,
v.86,
2023,
pp.121-144)
-
39.
- 에.테.아. 호프만의 『모래사내(Der Sandmann)』연구 : 눈을 통한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
- 이수정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83 p., 2000
-
40
-
에.테.아. 호프만의 『악마의 묘약』에 나타난 책 모티브와 매체 전략
-
유봉근;
연세대학교;
(카프카 연구,
v.0,
2009,
pp.415-4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