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8건 중 308건 출력
, 4/31 페이지
-
31
-
한국 단오제의 지역별 현황과 정체성
-
이창식;
세명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12,
pp.157-200)
-
32.
- 한국 무형문화재 보전의 지속가능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: 합리적 선택 신제도론하의 제도분석틀(IAD)을 중심으로
- 김명하
-
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, 2017
-
33.
-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
- 소은이
-
한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14p., 2010
-
34
-
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말총공예 전통의 지속과 변화
-
황경순;
국립문화재연구소;
(문화재,
v.47,
2014,
pp.160-171)
-
35
-
무형문화재의 주변화된 기억담론 복원과 다중성 고찰-광주 칠석동고싸움놀이 주변에 분포된 기억담론을 대상으로-
-
한정훈;
전남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3,
pp.263-296)
-
36.
- 한국 무형문화재 ‘종묘제례악' 무용의 미학에 대한 연구
- 하예초
-
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iv, 94장, 2024
-
37.
- 무형문화재 춤 보유자 2세대 고선아의 내러티브에 관한 생애사 연구
- 송가영
-
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41 p, 2023
-
38.
- 모션캡쳐 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전통춤의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
- 이수영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v,59장, 2007
-
39
-
음악 분야 무형유산의 장르성 변화와 대응 방안
-
김혜정;
경인교육대학교;
(무형유산,
v.0,
2020,
pp.27-50)
-
40
-
서울시 무형문화재 제43호 <경제어산> 소리의 전승 양상: 조계종 범패교육 현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
-
서정매;
동국대학교;
(국악원논문집,
v.0,
2020,
pp.167-1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