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59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조선후기 책판의 간행공간에 관한 연구 -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-
-
손계영;
경북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1,
pp.359-388)
-
32
-
‘선현미담(先賢美談)’에 나타난 유아 인성교육 덕목과 활용 양상-한국국학진흥원의 ‘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’ 활동을 중심으로-
-
유애순;
한국국학진흥원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본부;
(방정환연구,
v.6,
2024,
pp.171-208)
-
33
-
조선후기 영남 문집 목판본 간행의 확산 양상에 관한 연구 -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-
-
손계영;
대구가톨릭대학교 도서관학과;
(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,
v.44,
2013,
pp.447-470)
-
34
-
서평:한국국학진흥원 연구사업팀 기획, 『모당일기-임진왜란 이후 대구 지역 사림의 형성과 삶의 모습』(은행나무, 2021)
-
박나연;
(재) 한국국학진흥원;
(대구사학,
v.147,
2022,
pp.389-402)
-
35
-
세대와 소통하며 시대를 횡단하는 이야기문화의 연행 양상 - (한국국학진흥원의) 이야기할머니를 대상으로 -
-
김숙희;
전남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35,
2015,
pp.53-69)
-
36
-
조선시대 의료 생활 연구를 위한 병록病錄의 자료적 검토 ―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
-
하여주;
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;
(국학연구,
v.0,
2025,
pp.51-89)
-
37
-
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류 책판의 성격과 가치
-
신승운;
서정문;
성균관대학교;
한국고전번역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0,
pp.7-43)
-
38
-
지역문화센터로서 한국국학진흥원의 설립의의와 발전방향
-
문태현;
안동대학교;
(한국행정논집,
v.15,
2003,
pp.977-997)
-
39
-
고문서 메타데이터 표준화 현황과 과제 - 역사정보통합시스템과 한국국학진흥원의 고문서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-
-
김남일;
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센터;
(古文書硏究,
v.34,
2009,
pp.107-147)
-
40
-
고려시대 인물 문집의 현황과 문집의 편찬 과정-한국국학진흥원 소장본을 중심으로-
-
김형수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4,
pp.51-1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