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다문화사회의 가치인식 방법 연구 - 하종오의 최근 시를 중심으로
-
박윤우;
;
(구보학보,
v.0,
2018,
pp.519-550)
-
32
-
다문화시대 코리아드림의 다중성과 디아스포라 :하종오 시집 『입국자들』을 중심으로
-
이길연;
선문대학교;
(평화학연구,
v.12,
2011,
pp.287-302)
-
33
-
하종오의 ‘시의 극화’에 대한 연구 - 시극「서울의 끝」 분석을 중심으로 -
-
이현원;
계명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4,
pp.55-84)
-
34
-
세계화와 마이너리티 시의 의미 양상 연구 − 최종천·박후기·하종오의 시를 중심으로
-
김홍진;
한남대학교;
(국어문학,
v.64,
2017,
pp.125-152)
-
35
-
이주외국인 하위주체와 타자성에 대한 성찰 - 하종오의 시를 중심으로 -
-
김홍진;
한남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08,
pp.161-184)
-
36
-
김조규·하종오 시 엮어 읽기 - 조선족 여성의 이주와 정착, 귀환 과정을 중심으로
-
박지해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8,
pp.49-66)
-
37
-
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다문화사회의 가치인식 방법 연구 - 하종오의 최근 시를 중심으로
-
박윤우;
서경대학교;
(구보학보,
v.0,
2018,
pp.519-550)
-
38
-
하종오 시에 나타난 다문화 현상의 양상- 인식의 태도(態度)와 성찰의 시각(視角)을 중심으로
-
이명희;
건국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6,
2015,
pp.313-342)
-
39
-
2009 개정 문학 교과서 수록 다문화 시 제재 및 학습활동 분석
-
김명석;
성신여자대학교;
(교육연구,
v.60,
2014,
pp.7-33)
-
40.
-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수록 다문화 관련 제재에 관한 문학교육적 접근
- 정유진
-
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,74장, 20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