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몽골 諸王 카단(哈丹)의 출신과 행적
-
고명수;
충남대학교;
(역사와 담론,
v.0,
2020,
pp.151-190)
-
32
-
자유의지로 살펴본 중세의 헤테로토피아 연구: 단테의 ‘연옥’과 칼비노의 ‘도시’ 비교
-
이재훈;
연세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23,
pp.55-77)
-
33
-
고려 말 익군(翼軍)의 설치와 운영
-
오대영;
전북대학교;
(전북사학,
v.0,
2024,
pp.35-58)
-
34
-
대몽골국 초기 몽골고원으로 유입된 외래물품의 변화상 -우구데이~뭉케 카안 시기(1229~1259년)를 중심으로-
-
김장구;
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;
(몽골학,
v.0,
2022,
pp.101-137)
-
35
-
1260-70년대 고려-몽골 관계에서 歲貢의 의미
-
정동훈;
서울교육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20,
pp.123-150)
-
36
-
元代 운남 통치와 宗王 - 雲南王·梁王과 行省 병존을 중심으로 -
-
진현경;
경북대학교;
(대구사학,
v.154,
2024,
pp.169-207)
-
37
-
征東行省 개조 시도와 14세기 몽골(원)-고려 관계 - 增置에서 立省으로 -
-
최윤정;
경북대학교;
(대구사학,
v.156,
2024,
pp.165-204)
-
38
-
Vowel Letters of Hunmin-Jeongeum and Phags-pa Script
-
정광,;
;
(國語學 =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,
v.56,
2009,
pp.221-248)
-
39
-
몽골불교의 재 발전
-
세담 담빠;
몽고국립대학;
(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,
v.17,
2011,
pp.171-212)
-
40
-
중국 역사학계의 네이멍구[內蒙古]자치구사 서술 분석
-
김장구;
동국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20,
pp.45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