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사진 한 컷에 담긴 근대 공예사의 원풍경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08,
pp.66-89)
-
32
-
갈이틀(旋車)의 명칭과 磨造匠의 소임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美術史論壇,
v.0,
2016,
pp.59-83)
-
33
-
1950-70년대의 한국 공예: 형질의 해체와 조형화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20,
pp.7-28)
-
34
-
김진갑의 ⟨나전침대⟩ - 사용자와 제작경위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;
(미술사연구,
v.0,
2019,
pp.7-32)
-
35
-
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美術史論壇,
v.0,
2018,
pp.115-138)
-
36
-
金奉龍의 나전기술과 근대 공예적 성취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미술사연구,
v.0,
2017,
pp.167-187)
-
37
-
마곡사 ‘굴피자리’의 내력과 무형유산적 가치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미술사연구,
v.0,
2021,
pp.129-153)
-
38
-
'이왕직미술품제작소' 연구
-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고문화,
v.0,
1989,
pp.97-123)
-
39
-
부여 출토 고대 평목공구의 기능과 명칭–탕(鐋) 추정 유물-
-
이운천;
최공호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무형유산,
v.0,
2017,
pp.187-210)
-
40.
- 조선후기 왕실 부용향(芙蓉香) 연구
- 하수민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