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4/13 페이지
-
31
-
1950년대 북한 “문제”소설에 나타난 농민 형상 연구 - 「나비」와 「봄보리」를 중심으로 -
-
김미;
중국광동외어외무대학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2,
pp.235-256)
-
32
-
한국 근대소설사의 전개와 번역 ― 1920년대까지의 양상을 중심으로
-
손성준;
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4,
pp.41-76)
-
33.
- (A) study on the classical novel I Chun-pung Jeon
- 송인종
-
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47p., 2004
-
34.
- 17세기 전반 한문소설의 지형과 지향 연구 : 전기소설과 전계소설을 중심으로
- 백지민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2 p., 2009
-
35
-
염상섭 소설의 세대 갈등 양상
-
김정진;
세명대학교;
(人文學硏究,
v.29,
2018,
pp.77-104)
-
36
-
《劍俠傳》에 나타난 古典俠의 형상과 주제의식에 관한 연구
-
우강식;
영남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6,
pp.1-21)
-
37.
- 1910년대『매일신보』소재 소설 연구 : 근대소설 형성과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
- 이희정
-
경북대학교, 국내박사,
i, 238 p., 2006
-
38.
- 박경리 소설의 변모 양상 : 1950년대, 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
- 이미숙
-
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2p., 1999
-
39
-
1940년대 전반기 만주이민소설의 세 유형 - 안수길의《北原》에 나타나는 현실 반영의 방식 고찰
-
오양호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49,
2006,
pp.285-314)
-
40.
- 1910년대 비판적 사실주의 소설 연구 : 현상윤.양건식 소설을 중심으로
- 정정숙
-
한성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5장, 199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