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6건 중 116건 출력
, 4/12 페이지
-
31.
- 한국의 백중절 민속문화와 교육방안 연구 : 중국의 중원절 민속문화와의 비교를 통해서
- 정리
-
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9 p., 2022
-
32.
- 중국인을 위한 한국의 전통문화 교육 방안 연구 : 세시풍속에 관련된 영상물을 중심으로
- 왕아정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6 p., 2017
-
33.
- 한·중 단오의 비교연구 : 한국 강릉단오제와 중국 쯔구이(秭歸)단오절 행사중심으로
- 후효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12 p., 2019
-
34
-
신선로의 명칭 및 유래 재고(再考)와 근대적 변화
-
정지희;
서울역사박물관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22,
pp.231-265)
-
35.
- 李鈺의 『鳳城文餘』 연구 : 풍속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
- 강민지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69 p., 2006
-
36.
- 세시풍속서를 통한 중국 창장 유역 음식 문화 연구 : 『荆楚岁时记(형초세시기)』,『岁华纪丽谱(세화기려보)』,『熙朝乐事(희조락사)』중심으로
- 양사신
-
호서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8, 2018
-
37
-
근세 쓰시마의 바쿠후로의 정보보고와 유통
-
허지은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37,
2010,
pp.85-115)
-
38.
- 한·중 한자음의 구개음화 연구
- 기혜민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235 p., 2018
-
39.
- 민간전승 자료로 본 한?중 조왕신앙 비교연구
- 장요공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98, 2021
-
40.
- 紅樓夢의 女性民俗 硏究
- 한운진
-
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외국어학과 중국어전공, 국내석사,
163 p., 20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