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터키의 켈올란(Keloğlan) 사례를 통한 민담형 바보 캐릭터의 콘텐츠화 가능성 연구
-
조홍윤;
터키국립이스탄불대학교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0,
pp.327-364)
-
32
-
터키 한국전쟁 참전용사 구술생애담 조사 연구의 의의-보훈(報勳)을 넘어 소통(疏通)의 이야기로-
-
조홍윤;
Istanbul Universitesi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9,
pp.99-127)
-
33
-
자기 발견과 극복의 신화 구조를 활용한 구술생애담 서사 분석 시론
-
조홍윤;
Istanbul Universitesi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18,
pp.301-329)
-
34
-
의사 몽유록 관점에서 본 ⟨주생전⟩ 연구-배도와 선화의 형상에 반영된 주생의 욕망-
-
조홍윤;
Istanbul Universitesi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20,
pp.219-246)
-
35
-
터키 한국전쟁 참전용사 구술생애담에 나타난 한국인, 그 약자의 형상
-
조홍윤;
Istanbul Universitesi;
(한국학,
v.43,
2020,
pp.285-309)
-
36
-
⟨창세가⟩의 성인(聖人)각성 화소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
-
조홍윤;
Istanbul Universitesi;
(겨레어문학,
v.0,
2020,
pp.35-64)
-
37
-
효자호랑이 유형 설화의 호랑이 형상에 함의된 ‘절대 선’의 문제와 그 위험성
-
조홍윤;
Istanbul Universitesi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22,
pp.291-312)
-
38
-
해외 한국어문학 전공자 대상 창작 중심 시조 교육 사례 연구
-
조홍윤;
Istanbul Universitesi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1,
pp.85-110)
-
39
-
설화 ⟨구렁덩덩신선비⟩의 서사를 통해 본 ‘관계 맺음’의 문제
-
조홍윤;
건국대학교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16,
pp.191-230)
-
40
-
구조적 스토리텔링을 위한 신화 구조의 적용 방안 연구 -캠벨(Joseph Campbell)의 원질신화(Monomyth)와 한국 무속신화의 구조를 중심으로-
-
조홍윤;
건국대학교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7,
pp.31-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