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轉訛된 속담의 어원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국어사연구,
v.0,
2016,
pp.307-331)
-
32
-
‘다람쥐’, ‘두더지’, ‘청설모’의 語源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우리말글,
v.69,
2016,
pp.77-102)
-
33
-
‘아가위’와 ‘찔레’의 어원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4,
pp.5-23)
-
34
-
‘눈썹’의 語源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국어사연구,
v.0,
2013,
pp.219-242)
-
35
-
‘을씨년스럽다’의 語源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한국어학,
v.64,
2014,
pp.169-194)
-
36
-
‘장마’ 관련 語彙의 語源과 意味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國語學,
v.0,
2011,
pp.41-60)
-
37
-
‘곶[串]’ 계열 어휘의 形成과 意味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國語學,
v.0,
2012,
pp.37-71)
-
38
-
開化期를 前後한 시기에 생성된 慣用 表現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한국어학,
v.33,
2006,
pp.337-362)
-
39
-
‘거지’ 관련 어휘의 語源과 意味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우리말글,
v.61,
2014,
pp.1-34)
-
40
-
「龍飛御天歌」에 나오는 地名 ‘쇠벼라’에 대하여
-
조항범;
충북대학교;
(한국어학,
v.54,
2012,
pp.249-2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