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69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King’s representation of the royal music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musical history
-
Lim, Mi-sun;
;
(한국문학과예술 = The Korean literature and arts,
v.29,
2019,
pp.235-262)
-
32
-
조선총독부 벽화에 관한 고찰 - ‘내선일체’의 표상에서 ‘근대 벽화’로
-
김정선;
;
(美術史論壇 = Art history forum,
v.26,
2008,
pp.141-170)
-
33
-
The representation of cafe waitress and absence of modern girls of Japanese media in Colonial Korea : Focusing on 『Chosen and Manshu(朝鮮及滿洲)』 and 『Chosenkoron (朝鮮公論)』
-
Lee, Ka-Hye;
;
(比較日本學 = Comparative Japanese studies,
v.50,
2020,
pp.95-119)
-
34
-
朝鮮時代『行實圖』에 나타난 日本의 表象
-
손승철;
;
(한일관계사연구,
v.0,
2010,
pp.37-84)
-
35
-
전후 조선학의 한 풍경: 일본 조선학 연구자들이 바라본 이광수 표상
-
허병식;
한국인문사회총연합회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4,
pp.511-544)
-
36
-
Lexical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in Korean-Chinese-English trilingual College Students in Yanbian
-
Jin, Zhezhu;
Yi, Kwangoh;
Kwak, Howan;
;
(이중언어학 = Bilingual Research,
v.73,
2018,
pp.123-151)
-
37
-
장소로서의 동경(東京) - 1930년대 식민지 조선작가의 동경표상
-
허병식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8,
2010,
pp.67-101)
-
38
-
고바야시 마사루의 식민지 조선 인식 - 초기 작품들 속의 인물표상을 중심으로
-
최준호;
;
(日本語文學= Kore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,
v.48,
2011,
pp.139-156)
-
39
-
송영 희곡에 나타난 ‘조선적 표상’ 연구 - 「김삿갓」과 「신사임당」을 중심으로 -
-
박숙자;
인하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311-336)
-
40
-
근대 일본 작가들의 조선표상 -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-
-
유상희;
이한정;
전북대학교;
상명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0,
pp.259-2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