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18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우언과 성리학 -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문학사 -
-
윤주필;
단국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0,
pp.129-168)
-
32
-
조선 세조의 당 태종 통치서에 대한 인식과 통치철학 원용의 리더십
-
Lee Jungwoo,;
;
(東西哲學硏究 : 韓國東西哲學硏究會論文集,
v.94,
2019,
pp.127-148)
-
33
-
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-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
-
김세서리아;
;
(陽明學 = Yang-ming studies,
v.25,
2010,
pp.221-255)
-
34
-
공동 연구를 통한 최한기 사상의 종합적 조명, 최영진 외, 『조선말 실학자 최한기의 철학과 사상』(서울: 철학과 현실사, 2000)
-
허남진;
;
(동아시아비평 = East Asia review,
v.5,
2000,
pp.41-52)
-
35.
- 羅欽順의 철학과 조선학자들의 논변
- 조남호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i, 151p., 1999
-
36
-
조선유학의 도덕적 토대에 대한 이해 - 조선 유학과 근대 서양철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양선진;
충남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9,
pp.91-114)
-
37
-
조선후기 예술론에 나타난 한국예술철학의 특징
-
김재숙;
;
(한국음악사학보,
v.0,
2003,
pp.232-248)
-
38
-
조선조 후기의 인물성동이논변에 대한 학제적 연구 - 철학, 사회학 및 정치학적 접근
-
이대희;
김춘태;
박영길;
김동근;
;
(철학논총,
v.54,
2008,
pp.75-97)
-
39
-
조선후기 문인화가의 예술ㆍ철학적 특징 一考
-
우지연;
성신여자대학교;
(양명학,
v.0,
2020,
pp.243-276)
-
40
-
조선조 성리학의 인성론 탐구 - I. Kant의 인간학과의 비교 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
-
기우탁;
;
(儒敎 思想 硏究,
v.27,
2006,
pp.239-26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