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1건 중 101건 출력
, 4/11 페이지
-
31
-
북한의 ‘大同江文化論’과 고조선인식 검토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5,
pp.39-70)
-
32
-
삼국시대 민 백성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검토
-
조법종;
;
(백제문화,
v.0,
1996,
pp.87-133)
-
33
-
동북아 선사 민족주의와 대동강문화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44,
2021,
pp.5-48)
-
34
-
고조선-고구려의 역사귀속성 논란에 대한 하나의 제안 : 조법종의 『고조선 고구려사 연구』(신서원)를 읽고
-
송호정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47,
2007,
pp.253-264)
-
35
-
2000년대 이후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 -단군, 기자조선 연구를 중심으로-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7,
pp.5-40)
-
36
-
광개토왕릉비의 四面碑 특성과 동북아시아적 전통 - 주변국가의 석비 및 기념물과의 비교 -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1,
2015,
pp.123-156)
-
37
-
高句麗 國內城의 空間과 廣開土王陵 -地圖와 陵碑文 檢討를 中心으로-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44,
2012,
pp.263-296)
-
38
-
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‘백제 부흥전쟁’ 관련검토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9,
pp.123-152)
-
39
-
Main Points of Contention in Terms of the Studies on Tan'gun and Kojosŏn
-
조법종;
;
(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8,
2005,
pp.53-83)
-
40
-
한국 고중세 백두산신앙과 만주명칭의 기원
-
조법종;
우석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09,
pp.121-1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