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,349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매체의 이용 장르와 기능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- 정치참여에 대한 정치심리 및 사회자본 변인의 역할을 고려하여
-
조성동;
나은경;
;
(한국방송학보 =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,
v.25,
2011,
pp.242-286)
-
32
-
장애인 정치참여 박차를 가한다
-
남정휘;
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;
(Social workers,
v.3,
2006,
pp.22-24)
-
33
-
소셜 네트워크 서비스(SNS) 사용자는 참여적인가?: 미국의 정치참여 유형과 SNS
-
송경재;
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;
(韓國과 國際政治 = Korea and world politics,
v.30,
2014,
pp.59-94)
-
34
-
투표참여와 다른 유형의 정치참여 간의 연계성 분석
-
Kim, Wook;
;
(정치·정보 연구,
v.16,
2013,
pp.27-59)
-
35
-
부산․경남지역 중년여성의 정치참여 경험 연구- 정치 재사회화 과정의 관점에서
-
김하정;
강미라;
김도숙;
김회복;
부경대학교 교육컨설팅협동과정;
경성대학교 교육학;
경성대학교 교육학과;
경성대학교 교육학과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9,
2018,
pp.621-648)
-
36
-
한국에서 비선거적 정치참여
-
박종민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28,
1994,
pp.163-182)
-
37
-
[포럼/시민운동의 정치참여 가능성은?]시민운동과 정치참여에 대한 논의
-
조현옥;
;
(에코 = ECO,
v.2,
2002,
pp.160-163)
-
38
-
재보궐 선거 정치참여에 관한 시론
-
박명호;
;
(한국정당학회보 = Korean party studies review,
v.5,
2006,
pp.129-146)
-
39
-
북유럽 여성들의 정치참여
-
최수경;
;
(사회과학논총 :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,
v.8,
1997,
pp.269-280)
-
40
-
한국 여성의 정치참여 연구
-
김옥렬;
이경숙;
;
(아세아여성연구 = Journal of Asian women,
v.31,
1992,
pp.7-8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