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82건 중 782건 출력
, 4/79 페이지
-
31
-
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(diglossia)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
-
정소연;
;
(한국학 연구=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 연구,
v.38,
2011,
pp.385-422)
-
32
-
정철 국문시가의 문예미 연구
-
김진욱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08,
pp.131-152)
-
33.
- 학생 중심의 고전시가 교수‧학습 방안 연구 : 정철의 <관동별곡>을 중심으로
- 최상우
-
관동대학교, 국내석사,
ii,81 장, 2011
-
34
-
송강 정철의 평전을 위한 기초 연구(1)
-
김창원;
경기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6,
pp.7-24)
-
35
-
Ideology and violence in literature - Focusing on author Jeong Chul -
-
Lee, Dongsoon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86,
2021,
pp.387-407)
-
36
-
정철 ⟨將進酒辭⟩와 박인로 ⟨勸酒歌⟩ 대비 고찰
-
강재헌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74,
2012,
pp.157-179)
-
37
-
허균의 <東征賦> 연구-정철의 <관동별곡>과 김창협의 <동정부>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-
-
곽미선;
;
(열상고전연구,
v.0,
2008,
pp.209-245)
-
38
-
한국 고전작가와 술 -이규보와 정철을 중심으로-
-
안영훈;
경희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19,
pp.9-22)
-
39
-
정철 시조의 문학적 특성 연구-언어적 측면을 중심으로-
-
김진욱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03,
pp.61-88)
-
40
-
송강 정철의 장진주사 수용에 관한 통시적 양상 연구
-
김영덕;
숭실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17,
pp.203-22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