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제2차 세계대전과 루르 노동자 가족 - 인구와 가족구조의 변화와 연속성 -
-
정용숙;
연세대학교;
(독일연구 -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13,
pp.97-125)
-
32
-
1957년 연금 개혁-서독 복지 국가와 노인 정책의 전환점
-
정용숙;
연세대학교;
(서양사론,
v.0,
2012,
pp.83-111)
-
33
-
기획논문 : 전후 서독의 가족과 가족정책-1950∼1960년대 서독 가족정책 ‘탄생’의 역사적 배경-
-
정용숙;
대구대학교;
(서양사론,
v.0,
2015,
pp.64-91)
-
34
-
‘서유럽 특수성’에서 비교문화연구로―서구의 가족사 연구
-
정용숙;
성균관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3,
pp.244-265)
-
35
-
1970-90년대 독일의 터키 이주민 가족 -초국적 이주는 가족적 삶과 구조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?-
-
정용숙;
대구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15,
pp.271-303)
-
36
-
‘독일문제’는 해결되었는가? - ‘독일문제’의 과거와 현재
-
정용숙;
중앙대학교 독일유럽연구센터;
(역사와 세계,
v.50,
2016,
pp.63-101)
-
37
-
불안과 기대 사이: 재통일 독일을 향한 양가적 시선과 ‘새로운 독일문제’ 담론
-
정용숙;
춘천교육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5,
pp.47-76)
-
38
-
산업 유산의 기억문화와 전시 강제 노동 – 독일 루르 광공업을 중심으로
-
정용숙;
춘천교육대학교;
(독일연구 - 역사·사회·문화,
v.0,
2023,
pp.241-280)
-
39
-
탈산업 구조조정과 사회적 합의의 도시재생 거버넌스 –1945년 이후 독일 루르 지역을 중심으로-
-
정용숙;
중앙대학교 독일유럽연구센터;
(전북사학,
v.0,
2020,
pp.293-320)
-
40
-
노동의 기록과 기억으로서 산업박물관―도르트문트 촐레른 폐광산의 사례
-
정용숙;
춘천교육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22,
pp.170-1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