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奎章閣의 지식기반사회적 의의와 동아시아문화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2006,
pp.93-120)
-
32
-
조선후기 문묘사전의 이정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86,
pp.133-160)
-
33
-
17세기 전반 예서의 성립과정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90,
pp.407-448)
-
34
-
正祖의 抄啓文臣敎育과 文體政策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1982,
pp.115-139)
-
35
-
17세기 사상계의 재편과 예론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89,
pp.211-239)
-
36
-
〈抄啓文臣題名錄〉 解題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1984,
pp.103-104)
-
37
-
New Approaches to the History of Ideas in the Late Choson period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,
v.5,
1992,
pp.155-170)
-
38
-
奎章閣 抄啓文臣 研究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1981,
pp.1-31)
-
39
-
〈文臣講製節目〉 解題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1984,
pp.105-106)
-
40
-
朝鮮後期 享祀關係 文獻資料의 檢討
-
정옥자;
서울대학교;
(규장각,
v.0,
1994,
pp.1-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