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길 잃은 역사 대중화―이덕일의 『사도세자의 고백』에 대한 비판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1,
pp.329-360)
-
32
-
18·19세기 일본인의 조선소설 공부와 조선관 ― ⟨최충전⟩과 ⟨임경업전⟩을 중심으로 ―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2005,
pp.27-55)
-
33
-
일반논문: 구운몽도 연구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6,
pp.379-407)
-
34
-
『한중록』의 신고찰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8,
pp.171-198)
-
35
-
영국도서관(British Library) 소장 경판한글소설 재론 -배접지를 통해 추론한 방각본의 간행 상황을 중심으로-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2,
pp.145-167)
-
36
-
조선 후기 성(性)의 실상과 배경 -『기이재상담(紀伊齋常談)』을 중심으로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인문논총,
v.0,
2010,
pp.163-202)
-
37
-
기생 잔치판의 노래; ⟨艶謠⟩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0,
2005,
pp.207-232)
-
38
-
2003년 고전소설 연구 동향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0,
2004,
pp.245-261)
-
39
-
조선후기 한글 · 출판 성행의 매체사적 의미
-
정병설;
서울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08,
pp.145-164)
-
40
-
여성영웅소설의 전개와 ⟨傅張兩門錄⟩
-
정병설;
명지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19,
2001,
pp.207-235)